
경북도는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21곳으로 확대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도가 농업 대전환 프로젝트의 하나로 지원하는 이 사업은 고령으로 더 이상 농사를 짓기 어려운 어르신들이 농지를 제공하고 법인에 주주로 참가해 소득을 배당받는 형태다. 법인은 규모화한 농지에서 대형 농기계로 이모작을 해 경지 이용률과 소득을 높인다.
도는 2023년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현재 21곳으로 늘린 데 이어 앞으로 계속 확산해나갈 방침이다.
올해 26호의 농가가 사업에 참여한 경주 안강지구(65㏊)는 여름철에는 벼 대신 콩과 옥수수를, 겨울에는 조사료를 재배한다. 벼 단작 때보다 이모작 공동영농으로 2배 정도 높은 소득이 기대된다.
경주는 공동영농에 선도적으로 나서 2024년 외동지구에 이어 올해 안강지구를 포함한 4개의 지구가 추가로 참여해 여름철에는 벼 대신 콩, 옥수수 등 타 작물로 전환하고 겨울철에는 조사료, 보리, 밀을 심는 이모작을 추진하고 있다.
의성 2개 지구(단밀, 안계)에서는 청년들이 주축이 돼 참여 농가들의 농지를 모아 벼 대신 콩, 조사료 등을 파종해 이모작 단지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상주 함창지구는 51호 농가가 참여해 102㏊에 콩· 양파, 감자 이모작 공동영농을 하고 있다.
도는 앞으로도 도내 22개 시군과 함께 적극적으로 대상지를 발굴하고 연말 평가를 통해 우수한 시군에는 사업비도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