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도매가격이 이른 추석이 낀 9월은 물론 오는 10~11월에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9월 1등급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지육 kg당 1만7400~1만8400원으로 지난해 9월 1만8792원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0~11월에도 한우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을 전망이다. 지난해 10~11월 1등급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지육 kg당 1만7953원이었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1만6900~1만7900원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이 기간 한우 가격이 1만6900원대까지 떨어진다면 이는 지난 2017년 8월 이후 2년 만에 처음으로 1만7000원대 아래로 떨어지는 기록이 될 것으로 보인다. 9월 한우 도축마릿수는 이력제 자료를 이용한 출하예정 마릿수에 비춰볼 때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올해 추석은 평년보다 2주 가량 빠르다는 점을 감안할 때 9월 도축마릿수는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9월 도축마릿수는 7만8000마리였으며 올해는 7만2000~7만4000마리로 예상된다.
한우자조금, ‘한우 배합사료 소매가격 원가분석 연구’ 생산·유통전과정 세분화된 모듈로 구성 예측가격, 실제가와 비슷… 정확도 높아 한우 배합사료 소매가격의 도출과 예측 시스템을 재구축해 향후 배합사료 소매가격 변동요인 발생시 한우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충남대에 의뢰한 ‘한우 배합사료 소매가격 원가분석연구’ 결과를 지난달 28일 발표했다. 한우자조금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국내 한우 배합사료 시장에 대해 파악하고 사료시장의 대내외적 여건변화에 따른 한우 배합사료 가격의 변동을 예측코자 진행됐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배합사료 생산량은 2018년 기준 1983만6000톤이며, 이중 비육우용 사료는 전체 사료 생산량의 23.4%인 463만7000톤으로 조사됐으며, 비육우 사료는 농협사료의 시장 점유율이 65.0%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배합사료 생산은 수입 원료곡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배합사료 생산에 필요한 원료 곡물 구매방법은 사료회사별로 직접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배합사료의 유통은 크게 두 가지로 직거래 방식과 대리점 등 중간단계를 통한 유통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한우 배합사료
송아지값 상승세 이어져 7월 380만원 최고치 송아지 입식열기 고점향해 지속적으로 상승세 민간 농촌경제연구기관인 GS&J가 최근 ‘사육두수 증가 지속, 송아지 가격은 최고치 경신’이라는 한우동향을 발표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요약내용을 소개한다. <편집자> 한우 총 사육두수는 2016년 9월 이후 전년 동기 대비 2∼4%의 증가세가 이어져 올 6월에는 304만8000두로 작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였고, 그중 암소는 194만60000두로 3.1%, 수소는 110만2000두로 1.3% 증가하였다. 가임암소 두수는 2016년 12월부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에 접어들어 올 6월 133만두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하였고, 1세 이상 수소 사육두수도 올 6월 66만9000두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하였다. 송아지 생산두수가 2016년 2분기 이후 높은 증가율을 보이다가 올 3월 전년 동기 대비 8.4%, 6월 1.7%로 증가율이 낮아진 것으로 보이나 2017년 동기 대비하면 각각 31.9%, 17.3%에 달하여 송아지 생산이 가파른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사육두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6월 한우 도축두수는 5만876마리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축산관측에 따르면 한우는 8월과 9월 도축 마릿수 증가로 가격의 하락이 예상된다. 지난달 1일부터 23일 기준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0.8% 하락한 지육 1kg당 1만7563원이었다. 2등급, 3등급 역시 전년 대비 2.1%, 2.9% 하락한 1만4426원, 1만1047원으로 조사됐다. 농가의 입식의향도 높아 송아지 평균 가격도 전년대비 높았다. 수송아지는 420만원, 암송아지는 327만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4.3%, 5.4% 올랐다. 이력제 자료를 이용한 향후 출하가능 마릿수 추정 결과 8월 도축마릿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8월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1만8277원보다 하락한 1만7500원~1만8200원을 형성할 전망이다. 9월 한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308만3000마리로 농경연은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