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제 효력시험을 거치지 않는 소독제가 165품목이나 검역본부의 권고소독제로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ASF는 소독제가 최선의 방역대책이나 효력시험지침을 거친 소독제는 10월 18일 현재 단 13개 품목 뿐인 것으로 드러났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농식품부 국정감사에서 ASF가 최초로 발병한 이후 3개였던 허가품목이 10개 제품이 추가로 선정됐지만 아직도 권고소독제를 검역본부가 사용토록 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무책임한 처사’라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또 농식품부가 제출한 자료를 통해 2000년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11회에 걸쳐 총 424건이 발생해 3조6337억원의 재정소요를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 많은 희생을 치르고도 아직도 구제역 감염경로와 전파경로는 추정할 뿐 밝혀진 것이 없고 2014~2019년 2899억원의 백신을 쏟아붓고도 수년간 매년 발병했다고 질타했다.
서 의원은 “덴마크 수의식품청이나 캐나다 식품검사청과 같은 (가칭)방역청을 신설해 가축전염병에 대한 대응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며 “최소 대통령이나 총리직속 강력한 방역대응기구라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